인터페이스 연결
케이블 연결
![]() |
---|
폭발 위험
이러한 지침을 따르지 않을 경우 심각한 부상 또는 사망으로 이어지거나 장비가 손상될 수 있습니다.
|
Division2 위험 장소 규정은 모든 케이블 연결부에 적절한 변형 완화부 및 포지티브 인터록이 함께 제공되어야 한다고 되어 있습니다. USB 연결이 이 제품에 USB 연결을 사용할 수 있도록 적절한 스트레인 릴리프를 제공하지 않으므로 비발화성 USB 장치만 사용하십시오. 케이블의 양 끝에 전력이 공급되는 동안에 절대로 케이블을 연결하거나 분리하지 마십시오. 모든 통신 케이블은 섀시 접지 차폐를 포함해야 합니다. 이 차폐는 구리 매듭과 알루미늄 호일을 포함해야 합니다. D-sub 스타일 커넥터 하우징은 금속 전도형(예를 들어, 성형 아연)이어야 하며 접지 차폐 브레이드는 커넥터 하우징에 직접 종단되어야 합니다. 차폐 드레인 선을 사용하지 마십시오.
케이블의 외경은 신뢰할 수 있는 수준의 스트레인 릴리프가 유지되도록 케이블 커넥터 스트레인 릴리프의 내경에 적합해야 합니다. 항상 양쪽에 있는 두 개의 나사를 통해 D-sub 커넥터를 워크스테이션 결합 커넥터에 고정하십시오.
USB 연결
비발화성 현장 배선 기구(키보드, 마우스)는 연결된 현장 배선 비발화성 기구(이 제품)의 전면 USB 포트(A형)에 사용하도록 허가되어 있습니다.
회로 매개 변수 | 전면 USB(A형) |
---|---|
개회로 전압 = Voc |
5.25 Vdc |
단락 전류 = Isc |
1,560 mA |
연결된 정전 용량 = Ca |
265 μF |
연결된 인덕턴스 = La |
16 μH |
회로 매개 변수 | 전면 USB(마이크로 B) |
---|---|
최대 입력 전압 = Vmax |
5.25 Vdc |
최대 부하 전류 = Imax |
0.1 mA |
내부 정전 용량 = Ci |
0.12 μF |
내부 인덕턴스 = Li |
16 μH |
-
위의 표에는 비발화성 회로 매개변수가 나와 있습니다.
엔터티 개념은 연결된 기구의 Voc(또는 Uo) 및 Isc(또는 Io) 승인값이 비발화성 기구의 Vmax(Ui) 및 Imax(Ii)보다 작거나 같을 때 그리고 연결된 기구의 Ca(Co) 및 La(Lo) 승인값이 Ci + Ccable및 Li + Lcable보다 크거나 같을 때(각각 비발화성 현장 배선 기구에 대해) 특별한 검증을 거친 조합이 아닌 시스템으로 연결된 기구가 있는 비발화성 기구의 상호 연결을 허용합니다.
-
연결된 비발화성 현장 배선 기구와 비발화성 현장 배선 기구는 다음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.
연결된 비발화성 현장 배선 기구 — 비발화성 현장 배선 기구 Voc ≤ Vmax Isc ≤ Imax Ca ≥ Ci + Ccable La ≥ Li + Lcable -
케이블의 전기적 매개변수를 알 수 없는 경우 다음 값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.
Ccable = 196.85 pF/m(60 pF/ft)
Lcable = 0.656 μH/m(0.20 μH/ft)
-
배선 방법은 사용하는 국가의 전기 규정을 따라야 합니다.
이 제품은 인클로저에 설치되어야 합니다. Class I, Division 2 장소에 설치된 경우, 인클로저가 Division 2 배선 방법 중 하나 이상을 수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.
![]() |
---|
폭발 위험
이러한 지침을 따르지 않을 경우 심각한 부상 또는 사망으로 이어지거나 장비가 손상될 수 있습니다.
|